2025/07/08 2

소셜벤처 브랜드가 정부·지자체와 협업 시 조심해야 할 시각 전략

소셜벤처는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민간 기업으로서 정부나 지자체와의 협업이 매우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특히 지역 기반 문제 해결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 환경 및 복지 영역에서의 실험은 공공영역과의 파트너십 없이는 지속되기 어렵기 때문에 소셜벤처에게 공공 협업은 선택이 아닌 필수에 가깝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공공기관의 시각 언어와 소셜벤처의 브랜드 언어가 매우 다르며 이 차이를 조율하지 못하면 신뢰가 흔들리거나 협업의 긴장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공공기관은 ‘중립성’, ‘형평성’, ‘정책적 안정성’을 기반으로 한 시각 언어를 사용합니다. 반면 소셜벤처는 ‘감성’, ‘공감’, ‘사회 혁신’이라는 브랜드 정체성을 시각에 녹여내는 경향이 강합니다. 따라서 협업 콘텐츠, 행사 포스터, 보도자료, 공동..

소셜벤처 2025.07.08

소셜벤처 브랜드가 피해야 할 위선적 메시지 구조

소셜벤처는 사회적 문제 해결을 핵심 미션으로 삼고 있는 브랜드입니다. 이들은 시장에서의 성과보다 공동체, 환경, 인권 등 더 큰 가치를 추구하며 움직이고, 그로 인해 고객에게 더욱 강한 신뢰를 기대받는 존재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브랜드의 메시지가 실제 행동이나 구조와 어긋나거나, 고객이 감지할 수 있는 진정성의 흐름이 부족할 경우, 소셜벤처는 오히려 가식적이라는 인식을 받을 수 있습니다.소비자는 이제 브랜드가 단지 ‘무슨 말을 하느냐’보다 ‘그 말을 어떤 태도로 하느냐’와 실제로 ‘어떻게 살아가고 있느냐’를 함께 평가합니다. 특히 MZ세대를 포함한 새로운 소비자 집단은 브랜드의 사회적 메시지가 도덕적 우월감이나 공익성 과잉으로 느껴질 때 오히려 반감과 이탈로 반응하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소셜벤처는 진정성..

소셜벤처 2025.07.08